본문 바로가기
정보 저장소

2차 도메인은 왜 2차일까? 1차 도메인은 존재할까?

by 로직맨 2025. 2. 5.

2025.02.05 - [분류 전체보기] - 2차 도메인과 하위 도메인 쉽게 이해하기

 

2차 도메인과 하위 도메인 쉽게 이해하기

2차 도메인과 하위 도메인 쉽게 이해하기1.  2차 도메인이란? (=메인도메인)2차 도메인은 쉽게 말해 내가 직접 등록한 주소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내 도메인: mywebsite.com구글의 도메인: google.com

pm10.tistory.com

우선 위 포스팅에 2차 도메인과 하위 도메인의 개념을 총정리 해뒀습니다.

이 글을 포스팅하고 나서, 갑자기 궁금하더군요. 2차 도메인이 있으면 1차 도메인은 없는가?

아래 정리해보겠습니다.


2차 도메인이란? 쉽게 이해하는 도메인 구조

도메인은 어떻게 나뉘어 있을까?

도메인은 계층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읽을수록 계층이 낮아지는 방식이에요.

1. 도메인 계층 구조

  1.  최상위 도메인(TLD, Top-Level Domain).com, .net, .org, .kr
  2. 2차 도메인(Second-Level Domain)google.com, naver.com (우리가 보통 “메인 도메인”이라고 부르는 것)
  3. 하위 도메인(Subdomain)mail.google.com, blog.naver.com

2.  2차 도메인과 하위 도메인의 유래

2차 도메인과 하위 도메인의 개념은 도메인 네임 시스템(DNS)에서 파생된 것입니다.

 원래 웹사이트, 기업, 기관 등 다양한 곳에서 사용되었고, 블로그뿐만 아니라 이메일, 서버 관리, 기업 내부 시스템 등에서도 쓰이죠.

 

예시:

  1. 이메일: mail.google.com (구글의 이메일 서비스)
  2. 서비스 분리: store.naver.com (네이버 스토어)
  3. 회사 내부용: vpn.company.com (회사 내부 네트워크)
 블로그뿐만 아니라 다양한 IT 서비스에서 사용되는 개념입니다.

3. 그럼 1차 도메인은 없을까? 

위에서 설명했듯이 우리가 흔히 "최상위 도메인(TLD, Top-Level Domain)"이라고 부르는 게 있습니다.

예를 들어 .com, .net, .org, .kr 같은 게 최상위 도메인이죠.

  1. 최상위 도메인
  2. 2차 도메인 = 메인도메인 
  3. 하위 도메인 = 서브도메인
정리하자면, "1차 도메인"이라는 개념은 없고, 최상위 도메인(TLD)이 존재하는 것입니다.

4. 그럼 왜 '2차'도메인이라고 부르는거야?

"2차 도메인"이라는 말이 나온 이유는 도메인 이름이 계층적 구조를 가지기 때문입니다.

도메인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갈수록 계층이 낮아지죠. 1번에서 설명한 계층구조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다시 한번 설명하겠습니다.

🌍 도메인 계층 구조

  1. 최상위 도메인(TLD, Top-Level Domain) → .com, .net, .org, .kr 등
  2.  2차 도메인(Second-Level Domain) → google.com, naver.com (=메인 도메인)
  3.  하위 도메인(Subdomain) → mail.google.com, blog.naver.com (=서브 도메인)
 "2차 도메인"은 최상위 도메인(TLD) 바로 아래 단계라서 그렇게 부르는 것이죠.

5. 결론

  • 1차 도메인이라는 개념은 없다
  • 2차 도메인은 단지 최상위 도메인의 아래단계라서 그렇게 불리게 된 것일 뿐이다.
  • 도메인은 계층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고, 주소의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갈수록 계층이 낮아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