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도메인과 하위 도메인 쉽게 이해하기
1. 2차 도메인이란? (=메인도메인)
2차 도메인은 쉽게 말해 내가 직접 등록한 주소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 내 도메인: mywebsite.com
- 구글의 도메인: google.com
이런 도메인은 돈을 주고 구매해야 하죠. 보통 “내가 소유한 공식적인 주소”라고 보면 됩니다. 쉽게 말해 여러분들이 도메인 업체에서 1년에 얼마내고 주소 설정해서 구매하시는데, 이게 바로 개인도메인=2차도메인입니다.
2. 하위 도메인이란? (서브도메인)
하위 도메인은 2차 도메인을 기반으로 새로운 구역을 나누는 개념입니다.
- 예시 1: blog.mywebsite.com → 블로그 용도
- 예시 2: shop.mywebsite.com → 쇼핑몰 용도
- 예시 3: 1.mywebsite.com → 내부 관리용
즉, 하위 도메인은 내 2차 도메인 아래에서 원하는 만큼 만들어 쓸 수 있는 주소예요.
내가 산 도메인 주소가 예를들어 마이웹사이트(예시:mywebsite.com)라고 했을 때, 예시123처럼 앞에 blog, shop, 1은 내 마음대로 설정할 수 있어요. 블로그용도에 '1'을 넣든, 'a'를 넣든 사실 상관은 없는데, 위에 예시처럼 단어를 집어 넣은 건 본인이 구분하기 편하라고 임의로 설정한 것 뿐입니다. 아래에 더 설명해드릴게요.
그러니까 가장 쉬운 예로 구글을 생각했을 때,
- 구글의 2차도메인(=메인도메인): google.com
- 구글의 하위도메인 중 하나(=서브도메인):mail.google.com (이메일서비스)
이렇게 생각하면 보다 이해가 빠르시겠죠?
메인은 구글쩜컴입니다. 서치를 할 수 있는 메인 화면이 나오게되죠.
그리고 구글에는 수많은 서비스가 존재합니다. 그 서비스들에 하위도메인 개념이 붙게 되죠. 그 중 하나를 예시로 보여드렸습니다.
구글의 2차도메인 주소는 goole.com 이고 하위도메인 중 하나는 mail.google.com
즉, 2차 도메인은 메인 주소이고, 하위 도메인은 그 안에서 구역을 나누는 개념
3. 하위 도메인 이름은 어떻게 정해야 할까?
보통 짧고 쉽게 기억할 수 있도록 숫자(1, 2, 3)나 알파벳(a, b, c)를 많이 사용하죠.
하지만 블로그나 웹사이트를 운영하는 경우라면 짧지만 의미 있는 단어를 넣는 게 좋습니다. 크게 고민할 필요없어요.
- ✅ shop.mywebsite.com → 쇼핑몰 용도
- ✅ blog.mywebsite.com → 블로그 용도
- ✅ info.mywebsite.com → 정보 제공 용도
하위도메인 이름은 '보기 쉽게 설정한다'를 기준으로 하시면 되겠습니다.
4. 하위 도메인이 검색 노출에 영향이 있을까?
하위 도메인은 검색 엔진이 2차 도메인과 별도로 인식할 수 있어요.
그러나, SEO(검색 최적화) 측면에서는 2차 도메인이 더 강력하기 때문에 중요한 정보는 2차 도메인에서 운영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니까 메인이 되는 블로그에 내가 구매한 도메인을 2차 도메인으로 설정하고, 나머지 블로그에 그 2차도메인주소의 하위도메인을 하나하나 입히면 됩니다.
5. 내부 관리용 하위 도메인은 어떻게 정할까?
만약 외부 노출이 필요 없고, 내부적으로만 사용할 하위 도메인이라면?
- ✅ 1.
mywebsite.com→ 테스트용 - ✅ a.
mywebsite.com→ 내부 관리용 - ✅ dev.
mywebsite.com→ 개발 용도
누차 말씀드려 아시겠지만 이렇게 아무 숫자나 영어 한 글자로 설정해도 상관없는 겁니다.
왜냐하면 이 주소는 내부 관리용이라서 외부 노출이 안 되기 때문이에요. 그냥 본인이 기억하기 쉬운 대로 설정하면 됩니다.
설령 외부노출이 필요하다고 해도 크게 상관없지만 그래도 짧고 의미있으면 더 좋습니다. 구글의 예시를 생각해보시면 됩니다. 관리가 확실히 쉽겠죠?
결론은
- 2차 도메인 = 내가 직접 등록하고 구매한 메인 주소 = 메인도메인
- 하위 도메인 = 2차 도메인을 기반으로 새로 만든 주소 =서브도메인
- 도메인을 구매할 때는 의미있고 짧은 게 seo에 좋다고 함
- 하위도메인 주소로는 아무거나 써도 되긴 함 (그렇지만 짧고 의미있게 쓰는 이유는 관리하기 더 편하고 외부 노출이 될 경우 신뢰도가 높음)
이제 2차 도메인과 하위 도메인의 개념이 좀 더 쉬워졌을까요? 가운데 쪽에 구글 예시만 봐도 훨씬 이해가 쉬워지셨을 겁니다. 무엇보다 2차도매인이 메인도메인이라는 것, 그리고 하위 도메인이 서브도메인이라는 것만 인지해도 속이 뚫리는 기분일 겁니다. 처음 블로그를 접하시거나 공부하고 계신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해서 최대한 쉽게 풀어봤는데 도움이 되셨다면 좋겠습니다.
2025.02.05 - [분류 전체보기] - 2차 도메인은 왜 2차일까? 1차 도메인은 존재할까?
2차 도메인은 왜 2차일까? 1차 도메인은 존재할까?
2025.02.05 - [분류 전체보기] - 2차 도메인과 하위 도메인 쉽게 이해하기 2차 도메인과 하위 도메인 쉽게 이해하기2차 도메인과 하위 도메인 쉽게 이해하기1. 2차 도메인이란? (=메인도메인)2차 도
pm10.tistory.com
'정보 저장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v4 vs IPv6, 일반 사용자도 알아야 할 차이점과 현실적인 활용법 (0) | 2025.02.06 |
---|---|
2차 도메인은 왜 2차일까? 1차 도메인은 존재할까? (0) | 2025.02.05 |
NET::ERR_CERT_COMMON_NAME_INVALID원인,해결(+티스토리 2차 도메인 SSL 오류 해결 방법) (0) | 2025.02.05 |
애플 vs 안드로이드 기본 앱 비교 – 어떤 차이가 있을까? (2) | 2025.01.29 |
티스토리 팀블로그 탈퇴 시 작성한 글, 삭제될까? (0) | 2025.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