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저장소

윈도우 안전 모드 진입 방법 – 부팅 오류 해결

by 로직맨 2025. 3. 7.

윈도우가 갑자기 부팅되지 않거나 이상한 오류가 발생했을 때? 안전 모드를 이용하면 최소한의 시스템 구성으로 부팅할 수 있어 문제 해결이 쉬워진다. 이번 글에서는 윈도우 안전 모드 진입 방법을 단계별로 정리했다.

윈도우 재부팅, 안전모드 진입 방법

1. 윈도우 안전 모드란?

안전 모드(Safe Mode)는 윈도우의 최소한의 드라이버와 설정만 로드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부팅 모드다. 바이러스 감염, 드라이버 충돌, 블루스크린 오류 등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유용하다.

2. 윈도우 안전 모드 진입 방법

안전 모드로 들어가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상황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자.

방법 적용 가능 상황 난이도
설정에서 안전 모드 진입 윈도우가 정상적으로 켜질 때 쉬움
부팅 중 안전 모드 진입 윈도우가 부팅되지 않을 때 중간
명령 프롬프트로 진입 고급 사용자용, 강제 부팅 필요할 때 어려움

3. 설정에서 안전 모드 진입 (윈도우 정상 부팅 가능할 때)

윈도우가 정상적으로 켜지는 경우, 설정을 통해 안전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설정을 통한 안전 모드 실행 방법

  1. Windows + I 키를 눌러 "설정"을 연다.
  2. "업데이트 및 보안" → "복구"를 클릭한다.
  3. "고급 시작 옵션"에서 "지금 다시 시작" 버튼 클릭.
  4. 부팅 후 "옵션 선택" 화면에서 "문제 해결" → "고급 옵션" 선택.
  5. "시작 설정"을 선택한 후 "다시 시작" 클릭.
  6. 재부팅 후 4번(F4)을 눌러 "안전 모드"로 진입.

4. 부팅 중 안전 모드 진입 (윈도우가 켜지지 않을 때)

윈도우가 정상적으로 부팅되지 않을 경우, 강제 종료 후 안전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안전 모드 강제 실행 방법

  1. 전원 버튼을 10초간 눌러 PC를 강제 종료한다.
  2. 다시 전원을 켠 후, Windows 로고가 나타날 때 다시 전원을 끄고, 이 과정을 2~3회 반복.
  3. 자동으로 "복구 모드"가 실행되면 "고급 옵션" → "문제 해결" 선택.
  4. "고급 옵션"에서 "시작 설정" → "다시 시작" 선택.
  5. 재부팅 후 4번(F4)을 눌러 "안전 모드"로 진입.

5. 명령 프롬프트를 이용한 안전 모드 진입

명령 프롬프트를 사용하여 강제로 안전 모드로 진입할 수도 있다.

CMD 명령어를 통한 안전 모드 실행

  1. "Windows + R"을 눌러 "실행" 창을 연다.
  2. "cmd" 입력 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3.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고 Enter 키를 누른다.
bcdedit /set {default} safeboot minimal

위 명령어 입력 후 재부팅하면 자동으로 안전 모드로 진입한다.

6. 안전 모드 해제 방법

안전 모드에서 정상 모드로 돌아가려면 다음 방법을 사용하면 된다.

안전 모드 해제 방법

  1. PC를 다시 시작하면 자동으로 정상 모드로 돌아감.
  2. 명령 프롬프트를 열고 아래 명령어 입력 후 재부팅.
bcdedit /deletevalue {default} safeboot

안전 모드로 문제 해결하기

윈도우가 갑자기 먹통이 되었다면? 안전 모드를 활용하면 해결할 가능성이 높다.

  • 정상 부팅 가능하면 설정 → 복구 옵션을 이용.
  • 부팅이 불가능하면 강제 종료 반복 후 자동 복구 모드 진입.
  • 고급 사용자는 명령 프롬프트를 활용하여 진입 가능.

위 방법을 따라 하면 안전 모드로 진입하여 윈도우 문제를 손쉽게 해결할 수 있다!


2025.03.03 - [분류 전체보기] - 블루스크린 오류 해결 방법 – 원인과 해결책 총정리

2025.03.03 - [분류 전체보기] - 맥북 터치패드 제스처 설정 방법 – 트랙패드 활용법

2025.03.03 - [분류 전체보기] - 윈도우 단축키 정리 – 필수 키보드 단축키 모음

2025.03.03 - [분류 전체보기] - 윈도우 정품 인증 방법 – 제품 키 & 디지털 라이선스